EXIF Viewer제조사Canon모델명Canon EOS 5D Mark III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6 (Windows)촬영일자2016:10:29 14:42:32만든이Pucca노출시간 1.000 s (1/1)초감도(ISO)100조리개 값F/f/11.0조리개 최대개방F/10.999999095436노출보정0.00 (0/1) EV촬영모드Reserved측광모드matrix촛점거리200.00 (200/1)mm사진 크기1024x683
1 sec
EXIF Viewer제조사Canon모델명Canon EOS 5D Mark III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6 (Windows)촬영일자2016:10:29 14:45:32만든이Pucca노출시간 0.067 s (1/15) (1/15)초감도(ISO)100조리개 값F/f/4.0조리개 최대개방F/4노출보정0.00 (0/1) EV촬영모드Reserved측광모드spot촛점거리200.00 (200/1)mm사진 크기1024x683
1/15sec
제주 알작지해변에서
2016.11.07 22:11
2016.11.08 08:42
비교해 주신 사진을 보며 공부를 합니다.
셔속의 차이가 다른 느낌을 주는 것 같습니다.
2016.11.10 13:59
2번 작품은 셔터속도를 일부러 맞추려고 그래서인지 모션블러와 심도에 의한 블러가 공존하네요.
셔속은 모션블러의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죠. 특별히 어떤 셔속이 좋다는 고정적인 방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는 피사체의 속도, 빛의 강도등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상황마다 다른 셔속이 쓰일것 같습니다.
모션블러과 심도에 의한 블러가 공존할 경우 각각의 블러효과가 다른 블러효과를 상쇄하지 않도록 이런 점에는 신경을 써야할 것 같습니다.
2016.11.10 17:08
그렇지요!
등가노출로 조리개를 열 것이 아니라 감도를 올려 셔속을 빠르게 했어야 했는데,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다다님께서 1/15sec은 파도가 강하게 치는 경우 주상절리에서 바다물이 폭포수처럼 떨어지는 순간을 더 생생하게 담을 수 있을 것이라는 조언이 있어서 비교하여 담았지만,
바람의 세기에 따라 파도에 의한 바닷물의 모션블러와 카메라의 모션블러 등의 영향도 함께 담겨져 있으니 대충 담은 것이 모니터에서 확연히 표시가 나더라구요. ㅎㅎ
2016.12.20 20:24
너무 멋있어요!! 마치 산에 구름이 흐르는 것 같네요
바닷가 암초들을 주제로 한 장노출의 경우 한 번도 마음에 들게 담아온 적이 없네요.
다다님께서 주상절리를 가게 되면 꼭 1/15sec의 셔속으로 담아보라고 하셔서 비교 사진을 올려봅니다.
실제로 주상절리에서는 파도가 약하여 원하는 사진을 담지 못하여, 알작지해변에서 담은 사진으로 대신합니다.